2025 여름, 쉬는 날은 언제일까? 계절이 바뀔 때마다, 우리는 다시 달력을 펼쳐보게 됩니다. 매달 다른 공휴일 패턴을 계절별로 비교해 보는 것은, 일상을 계획하는 데 의외로 도움이 됩니다. 여름은 달력에 공백이 많은 계절입니다. 뜨거운 날씨 속에서도 일상은 계속되기에, 어느 하루가 ‘쉼’으로 다가올 수 있다면 그 자체로 위로가 되곤 하죠. 2025년 여름엔 총 3일의 공휴일이 있습니다. 하나는 선거일, 두 날은 국경일입니다. 날짜 공휴일명 구분 요일 6월 3일 대통령 선거일 임시공휴일 화요일 6월 6일 현충일 법정공휴일 금요일 7월 공휴일 없음 - - 8월 15일 광복절 법정공휴일 금요일 6월 공휴일 • 6월 3일 (화요일): 제22대 대통령 선거일 → 법정공휴일은 아니지만, 공직선거법에 따라 전국이 휴일로 운영됩니다. 관공서, 학교는 휴무이며, 대부분의 직장도 이날은 쉴 가능성이 큽니다. • 6월 6일 (금요일): 현충일 → 유일한 법정공휴일이자 국경일입니다. 주중 짧은 연차 조합으로 소규모 여행도 가능하겠죠. 6월 4,5일에 연차를 쓰실 수 있다면 여름의 문턱에서 작은 연휴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7월 공휴일 2025년 7월에는 공휴일이 없습니다. 쉬는 날 없이 한 달을 보내야 하는 유일한 달. 그래서 더욱 계획적인 휴식이 필요할 수 있어요. 미리 연차를 계획해 두거나, 징검다리 연휴가 생기는 달을 참고해 대체 휴식을 확보해 두는 것도 방법입니다. 왜 7월이 여름휴가철인지 이유를 확실히 알 것 같네요. 잠시라도 훌쩍 떠나고 싶은 곳을 한번 떠올려 보세요~ 생각만으로도...
임시공휴일 vs 대체휴일,
헷갈리지 않으셨나요?
뉴스나 달력에서 자주 보게 되는
‘임시공휴일’과 ‘대체휴일’.
둘 다 쉬는 날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지정 기준도, 발생 방식도 전혀 다릅니다.
한 번쯤 헷갈렸던 적 있다면, 이번 기회에 정확히 정리해 보세요.
1. 임시공휴일이란?
국가가 특정 사유로 ‘한시적으로 지정하는 휴일’
• 법령: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제2조
• 주체: 국무회의 의결 → 대통령이 지정
• 사유: 특별 기념일, 국가적 행사, 사회적 배려 목적 등
대표 사례
연도 | 지정일 | 사유 |
---|---|---|
2015년 | 8월 14일 | 광복 70주년 기념 |
2020년 | 8월 17일 | 코로나19 대응 피로 완화 |
2022년 | 10월 2일 | 개천절 앞뒤 연휴 확보 |
• 특징: 비정기적이며, 지정 시에만 발생
• 민간 기업은 강제 적용 X (권고 수준)
2. 대체휴일이란?
정기 공휴일이 주말과 겹칠 때,
대신 쉬는 평일을 지정하는 제도
• 법령: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제3조의 2
• 대상 공휴일:
→ 설날, 추석, 어린이날, 부처님 오신 날
• 발생 조건:
→ 공휴일이 일요일이나 다른 공휴일과 겹칠 경우
예시
• 2024년 부처님 오신 날(5월 15일 수요일)
→ 대체휴일 없음
• 2023년 어린이날(5월 5일 금요일)
→ 대체휴일 없음
• 2022년 어린이날(목요일) + 석가탄신일(일요일)
겹침 → 대체휴일 5월 9일(월) 지정
• 특징: 지정 불필요 / 자동 적용
• 민간 기업도 적용 확산 중 (2021년 이후 전체 확대)
이렇게 정리해 보세요
항목 | 임시공휴일 | 대체휴일 |
---|---|---|
발생 조건 | 특별한 사유 발생 시 정부가 지정 | 기존 공휴일이 주말과 겹칠 때 자동 발생 |
법적 근거 | 관공서의 공휴일 규정 제2조 | 같은 규정 제3조의2 |
적용 방식 | 수시 지정, 비정기적 | 자동 발생, 정기적 가능성 |
민간 적용 | 법적 강제 없음, 권고 수준 | 대부분 적용 추세 (2021년 전면 확대) |
예시 | 광복절 임시공휴일, 코로나 임시휴일 등 | 설날·추석·어린이날 대체휴일 |
같은 ‘쉬는 날’이라도
임시공휴일은 상황에 따라 생기고,
대체휴일은 제도에 따라 자동으로 적용되는 구조입니다.
비슷한 단어지만
법적 위치도, 발생 맥락도 다르기 때문에
일정 계획이나 휴가 조율 시 정확히 이해해 두면 도움이 됩니다.
✦ 본 콘텐츠는 [공휴일과 기념일] 시리즈입니다.
© 2025 물결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