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슬립헬스(Sleep Health)란? 수면과 건강을 연결하는 기술과 생활의 변화

 잠들지 못하는 밤이 많아질수록 어른이 될수록 잠이 줄어드는 건 당연한 일인 줄 알았습니다. 일이 많아서, 스트레스가 많아서, 아니면 그냥 나이가 들어서.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는 ‘잠을 못 잔다’가 아니라 ‘잘 자는 방법을 잊었다’는 말이 더 가까워졌습니다. 그래서 요즘, 다시 수면을 배워보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잠이 오지 않는 밤이 자주 찾아옵니다. 눈을 감아도 머릿속은 계속 깨어 있고, 피곤함이 쌓여도 깊은 잠은 좀처럼 찾아오지 않습니다. 우리는 늘 피곤하지만, 충분히 자고 있다는 느낌은 점점 멀어집니다. ⸻ 슬립헬스란? 슬립헬스(Sleep Health) :  수면을 단순한 휴식이 아닌, 건강의 핵심 요소로 인식하는 개념 입니다. 이 용어는 수면의 양보다 질, 그리고 수면과 전반적인 건강 간의 상호작용에 주목합니다. 슬립헬스는 수면 시간뿐 아니라 수면의 구조, 회복 정도, 정신적 안정성 등을 포함한 복합적인 수면 건강 상태 를 말하며, 최근에는 슬립테크 기술을 통해 이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관리하려는 시도들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 용어는 2014년 미국의 수면의학 전문가 다니엘 부이스(Daniel J. Buysse)가 「Sleep Health: Can We Define It? Does It Matter?」라는 논문에서 처음 제안했습니다. 그는 슬립헬스를 수면의 질, 지속 시간, 규칙성, 효율성, 주관적 만족도 등 다섯 가지 요소를 통합한 건강 지표로 정의하며, 수면을 단순한 결핍이 아닌 능동적인 건강 상태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는 관점을 강조했습니다. 이 개념이 주목받게 된 배경에는 현대인의 수면이 단순한 양적 부족을 넘어 삶의 질 자체를 무너뜨리고 있다는 사회적 인식이 있습니다. 교대근무, 스마트폰 사용, 만성 스트레스 등이 수면 위생을 악화시키고 있고, 수면 장애가 정신질환과 신체 질환의 초기 징후로 관찰되면서 수면은 건강 관리의 ‘결과’가 아닌 ‘시작점’으로 새롭게 인식되고 있습니다. 수면은 정신 건강과도 깊게 연결되어 있습...

국제 놀이의 날 International Day of Play — 6월 11일, 아이들에게 놀 시간이 필요하다는 아주 단순한 진심

 아이들이 다시 놀 수 있도록



국제 놀이의 날은 왜 생겼을까


매년 6월 11일은 국제 놀이의 날(International Day of Play)입니다.

2024년 유엔이 공식 지정한 이 날은 아동의 놀 권리를 전 세계가 함께 보장하자는 약속으로 시작됐습니다.

놀이는 단순한 여가가 아니라, 발달과 학습의 출발선이며, 안전한 사회 구조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이 기념일의 바탕입니다.


국제 놀이의 날은 유엔 총회 결의안 A/78/L.57을 통해 지정되었습니다.

140개국 이상이 공동 제안국으로 참여했으며, 

LEGO 그룹과 Save the Children, Right To Play, World Vision 등이 주도했습니다.

UNICEF와 WHO, 유엔 아동권리위원회 역시 놀 권리 보장을 위한 국제적 연대에 함께했습니다.



보장되지 않는 놀이의 시간


많은 지역에서 아이들의 놀이 시간은 가장 먼저 사라집니다.

학교에서는 입시와 평가가 놀이보다 앞서고,

가정에서는 부모의 긴 노동 시간과 돌봄 공백이 놀이를 대신합니다.

도시 환경은 점점 더 안전한 놀이터를 밀어내고,

공간이 없거나 비용이 드는 놀이만 남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저소득 가정일수록 아이들은 자유롭게 놀 수 있는 시간과 장소를 확보하기 어렵고,

그 현실은 단순한 차이를 넘어 권리의 불균형으로 이어집니다.



놀이를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선


‘놀이’는 단어 하나로 묶이지만, 문화마다 그 의미는 다르게 해석됩니다.

어디에서는 놀이가 교육의 도구로만 존재하고,

어디에서는 여전히 생산성 없는 행위로 치부되기도 합니다.

어른이 되면 놀지 않는 게 당연하고,

아이들도 놀이보다는 성취와 평가에 더 익숙해지는 사회 속에서

놀 권리는 자연스럽게 뒤로 밀려납니다.

국제 놀이의 날은 이처럼 서로 다른 놀이의 언어를 이해하고,

그 다양성 안에서 보편적인 권리로서의 놀이를 다시 자리 잡게 하려는 시도입니다.


기념일날짜제정 기관지정 연도
국제 놀이의 날6월 11일유엔(UN)2024년
제정 배경
UNCRC 제31조 기반
놀 권리 보장 위한 국제사회 공동 결의     



주제를 통해 전하는 메시지


2025년 국제 놀이의 날의 주제는 

“Choose Play – Every Day”입니다.

놀이가 언제나 가능해야 한다는 이 메시지는, 단지 아이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가정과 학교, 지역과 정부가 함께 감당해야 할 사회 전체의 책임으로 연결됩니다.

놀이를 배제한 일상은 결국 건강한 시민도, 안정된 공동체도 만들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이 담겨 있습니다.


2025년, 놀이가 있는 곳


2025년 국제 놀이의 날에는 세계 여러 도시에서 다양한 행사가 열릴 예정입니다.


• 뉴욕 유엔 본부에서는 고위급 인사들이 참석하는 포럼이 열리며,

놀이의 사회적 의미와 정책화를 주제로 한 국제 패널 토론이 함께 진행됩니다.

본부 외부 공간에서는 아이들을 위한 놀이 체험 활동도 마련되어,

행사에 참여한 가족과 지역 시민들이 함께 놀이의 가치를 나눌 수 있도록 구성됩니다.


• 보스턴 시청 광장에서는 가족 단위 시민이 중심이 되는 대규모 놀이 캠페인이 예정돼 있습니다.

보드게임, 신체활동, 미술·공예 등 다양한 놀이 공간이 마련되며,

시에서 운영하는 복지 프로그램과도 연계되어 모두가 접근 가능한 형태로 기획됩니다.


• LEGO 그룹은 ‘Build the Change’라는 이름의 글로벌 캠페인을 통해

런던, 베를린, 상하이 등 도시 중심 공간을 아이들의 시선으로 재구성하는 활동을 전개합니다.

아이들이 직접 도시를 설계하고 제안하는 과정을 통해,

놀이가 단순한 활동이 아닌 사회를 상상하는 힘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려는 시도입니다.




하루가 던지는 질문


국제 놀이의 날은 단지 놀이를 기념하는 날이 아닙니다.

이 날은 각 사회가 아이들의 놀이를 어떻게 대하고 있는지를 스스로 돌아보게 만드는 장치입니다.

아이들에게 놀이가 허락되지 않는 현실을 비판하는 대신,

우리는 어떤 환경을 만들어야 하는지를 묻는 질문이 이 날에 담겨 있습니다.

놀이는 결과가 아니라 관계와 과정 속에 있다는 사실을,

그 과정을 지켜내는 것이 곧 권리를 존중하는 일이라는 사실을 이 하루가 다시 알려줍니다.





놀이는 아이에게 주어진
가장 자연스러운 권리입니다.
그 권리가 멈추지 않도록, 오늘을 기억합니다.


✦ 본 콘텐츠는 [바다 건너편의 오늘] 시리즈입니다.  

© 2025 물결노트.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슬립헬스(Sleep Health)란? 수면과 건강을 연결하는 기술과 생활의 변화

 잠들지 못하는 밤이 많아질수록 어른이 될수록 잠이 줄어드는 건 당연한 일인 줄 알았습니다. 일이 많아서, 스트레스가 많아서, 아니면 그냥 나이가 들어서.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는 ‘잠을 못 잔다’가 아니라 ‘잘 자는 방법을 잊었다’는 말이 더 가까워졌습니다. 그래서 요즘, 다시 수면을 배워보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잠이 오지 않는 밤이 자주 찾아옵니다. 눈을 감아도 머릿속은 계속 깨어 있고, 피곤함이 쌓여도 깊은 잠은 좀처럼 찾아오지 않습니다. 우리는 늘 피곤하지만, 충분히 자고 있다는 느낌은 점점 멀어집니다. ⸻ 슬립헬스란? 슬립헬스(Sleep Health) :  수면을 단순한 휴식이 아닌, 건강의 핵심 요소로 인식하는 개념 입니다. 이 용어는 수면의 양보다 질, 그리고 수면과 전반적인 건강 간의 상호작용에 주목합니다. 슬립헬스는 수면 시간뿐 아니라 수면의 구조, 회복 정도, 정신적 안정성 등을 포함한 복합적인 수면 건강 상태 를 말하며, 최근에는 슬립테크 기술을 통해 이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관리하려는 시도들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 용어는 2014년 미국의 수면의학 전문가 다니엘 부이스(Daniel J. Buysse)가 「Sleep Health: Can We Define It? Does It Matter?」라는 논문에서 처음 제안했습니다. 그는 슬립헬스를 수면의 질, 지속 시간, 규칙성, 효율성, 주관적 만족도 등 다섯 가지 요소를 통합한 건강 지표로 정의하며, 수면을 단순한 결핍이 아닌 능동적인 건강 상태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는 관점을 강조했습니다. 이 개념이 주목받게 된 배경에는 현대인의 수면이 단순한 양적 부족을 넘어 삶의 질 자체를 무너뜨리고 있다는 사회적 인식이 있습니다. 교대근무, 스마트폰 사용, 만성 스트레스 등이 수면 위생을 악화시키고 있고, 수면 장애가 정신질환과 신체 질환의 초기 징후로 관찰되면서 수면은 건강 관리의 ‘결과’가 아닌 ‘시작점’으로 새롭게 인식되고 있습니다. 수면은 정신 건강과도 깊게 연결되어 있습...

디지털 노마드 Digital Nomad — 장소에 얽매이지 않는 일과 삶의 선택

시간과 공간의 자유를 찾아가는 그들 도시를 떠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주말이나 휴가가 아니라, 일주일이나 한 달 단위로. 일을 놓지 않은 채, 방식을 조금 바꾸는 선택입니다. 정해진 사무실 대신, 인터넷이 연결되는 곳이라면 어디든 그들의 하루는 계속됩니다. 일과 삶의 경계를 재조정하는 방식으로서의 이동입니다. 사람들은 반복되는 루틴과 혼잡한 환경에서 벗어나기 위해 떠납니다. 단절이 아니라, 연결의 방식을 바꾸려는 움직임입니다. 인터넷은 모든 걸 가능하게 만들었지만, 때때로 그 연결이 사람을 한자리에 붙들어놓는다는 감각도 함께 남았습니다. 그래서 일과 거주를 분리하려는 선택이 점점 자연스러워지고 있습니다. 디지털 노마드(Digital Nomad) 란  장소에 얽매이지 않고 일하는 사람들 을 일컫는 말입니다. 이 개념은 1997년, 일본 기술자 츠기오 마키모토가 처음 제시했습니다. 기술이 인간을 고정된 공간에서 해방시킬 수 있다는 믿음에서 시작됐습니다. 팬데믹 이후 이 생각은 구체적인 삶의 형태로 자리 잡았습니다. 원격 근무는 일상이 되었고, 이동과 노동은 더 이상 반대 개념이 아닙니다. 어디에서든, 스스로 정한 방식으로 일하는 사람들이 생겨났습니다. 이런 삶을 위한 기반도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포르투갈 마데이라는 디지털 노마드를 위한 거주지이자 커뮤니티인 디지털 노마드 마데이라 를 운영합니다. 숙소와 코워킹 스페이스, 커뮤니티 프로그램이 결합된 체류 공간이 마련돼 있습니다. 인도네시아 발리의 우붓은 한 달 기준 700~1,000달러로 생활이 가능하고, 비자 연장도 비교적 간단합니다. 매주 열리는 소규모 커뮤니티 모임과 일정 시간 운영되는 코워킹 공간이 정착을 유도합니다. 우붓은 조용한 자연환경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특히 적합합니다. 대부분의 커뮤니티는 민간 코워킹 스페이스 운영자가 주도하며, 비자는 입국 후 30일 관광비자 발급 → 현지 연장 방식으로 최대 60일까지 가능합니다. 많은...

아버지의 날 Father’s Day – 6월 셋째 주 일요일, 기억과 감사의 날

  아버지라는 이름을 부르는 날 존재를 돌아보는 시간 ‘아버지의 날(Father’s Day)’은 아버지에게 감사를 전하고, 가족 내에서의 존재를 되돌아보는 날입니다. 어머니의 날에 이어 만들어졌지만, 그 의미는 단순한 대칭이 아니라 각각의 시간과 마음을 향한 존중에서 비롯됩니다. 누군가에게는 말보다 눈빛으로, 선물보다 조용한 존재감으로 다가오는 아버지를 기념하는 방식도 저마다 다릅니다. 시작은 한 사람의 마음에서 아버지의 날은 1910년, 미국 워싱턴주 스포캔에서 소노라 스마트 도드(Sonora Smart Dodd)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습니다. 전쟁에 다녀온 뒤 홀로 6남매를 키운 자신의 아버지를 떠올리며, 어머니만큼 아버지도 기려야 한다는 바람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같은 해 6월 19일, 지역 교회에서 첫 기념 예배가 열렸고, 이후 점진적으로 미국 전역으로 확산되기 시작합니다. 1966년 린든 B. 존슨 대통령은 6월 셋째 일요일을 ‘아버지의 날’로 선포했고, 1972년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서명을 통해 연방 기념일로 제정되었습니다. 기념일 날짜 제정 국가 지정 연도 아버지의 날 6월 셋째 주 일요일 미국 1972년 제정 배경 1910년 시작, 1972년 미국 연방 기념일로 공식 제정 전 세계의 다양한 날짜들 이날은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기념되며, 그 형태는 다르지만 ‘감사의 표현’이라는 본질은 같습니다. 많은 나라들은 미국의 전통을 따라 6월 셋째 일요일에 아버지의 날을 기념합니다. 대표적으로 미국, 캐나다, 영국, 프랑스, 일본, 인도, 중국, 필리핀,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이 이 날짜를 따릅니다. 그 외에도 각국의 문화와 역사에 따라 기념일은 다양합니다. •  3월 19일 (성 요셉의 날):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볼리비아 등 가톨릭 문...
☕ 커피 한 잔 응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