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됨을 다시 생각하는 특별한 날
매년 6월 1일은
세계 부모의 날(Global Day of Parents)입니다.
이 날은 유엔(UN)이 제정한 공식 국제기념일로, 부모의 헌신과 양육의 책임을 기리고,
사회의 기본단위인 가족의 역할과 중요성을 국제사회가 함께 되새기는 날입니다.
부모라는 이름 아래 반복되는 일상과 보이지 않는 수고로운 돌봄으로의 양육을, 단지 ‘완수하는 존재’가 아니라 ,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존재라는 인식이 이 날의 배경에 자리합니다.
.
UN이 이 날을 만든 이유
세계 부모의 날은 2012년 유엔 총회 결의안 A/RES/66/292를 통해 채택되었습니다.
결의안은 “부모는 아동 발달에 있어 주요한 보호자이며, 가족은 사회의 기본 단위로서 보호받아야 한다”는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양육이 단지 사적 책임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 기념일은 유엔 회원국의 만장일치로 채택되었으며,
2013년부터 매년 6월 1일 전 세계적으로 기념되고 있습니다.
지정 이후에는 각국에서 부모 교육 프로그램,
가족 복지 정책, 양육 환경 개선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실천 활동이 함께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저출산, 돌봄 공백, 불안정한 가족 구조 등 다양한 사회 문제 속에서 이 기념일은 정책적 논의의 출발점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기념일 | 날짜 | 제정 기관 | 지정 연도 | 2025년 주제 |
---|---|---|---|---|
세계 부모의 날 | 6월 1일 | 유엔 (UN) | 2012년 지정 | Raising Parents |
- 공식 정보는 UN 세계 부모의 날 소개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올해 세계가 주목한 부모의 역할
2025년 세계 부모의 날 주제는
‘Raising Parents’입니다.
자녀를 키우는 일은 부모를 단단하게 만드는 시간이기도 합니다.
이 주제는 아이만 자라는 것이 아니라, 부모 역시 그 과정 속에서 끊임없이 만들어지고 있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양육은 일방적인 헌신이나 희생이 아니라,
함께 관계를 만들어가는 일입니다.
그 속에서 부모는 정체성을 다시 구성하고, 감정을 조율하고, 선택을 배우게 됩니다.
그래서 부모 됨은 한 개인의 책임이 아니라, 사회와 제도가 함께 지원하고 성장시켜야 할 영역입니다.
이 주제를 통해, 부모 교육, 가족 상담, 돌봄 노동 보상 등 구조적인 지원 논의가 각국에서 더욱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2025년에 예정된 주요 행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 영국
‘Global Day of Parents Celebration’이라는 이름으로,
가족 인식 증진을 위한 커뮤니티 행사가 전국적으로 개최됩니다.
• 미국
‘Global Day of Parents Event’라는 명칭 아래,
부모의 역할을 기리는 지역 중심의 행사와 참여형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 호주
‘Global Day of Parents Australia’ 행사에서는
가족 중심 활동과 부모 교육 세션이 함께 운영됩니다.
• 유엔 주도 글로벌 캠페인
‘Global Day of Parents Observance’라는 이름으로,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온라인 기념 활동이 각국과 연계되어 펼쳐집니다.
자세한 행사 정보는 각국 커뮤니티 채널을 통해 안내될 예정입니다.
돌봄의 정의를 넓히는 날
세계 부모의 날은 생물학적 부모만을 위한 날이 아닙니다.
양부모, 조부모, 법적 보호자, 또는 그 역할을 대신 수행해 온 모든 사람들을 포함해
‘돌봄을 실천하는 존재’에게 감사를 전하는 날로 의미가 확장되고 있습니다.
가족의 형태가 다양해진 지금,
돌봄이라는 개념도 이전보다 훨씬 더 넓고 깊게 해석되어야 합니다.
이 기념일은 단순히 기리는 것을 넘어,
돌봄 노동의 가치를 공적으로 인정하고, 그것이 마땅히 존중받아야 함을 이야기합니다.
결국 이 날이 던지는 질문은 하나입니다.
누군가를 책임진다는 것의 의미,
그 책임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의 역할은 무엇이어야 하는가.
가족 정책과 사회적 책임
세계 부모의 날은 단지 상징적인 기념일이 아니라,
가족을 구성하고 유지하는 데 필요한 사회적 조건에 대한 문제 제기를 동반합니다.
돌봄은 감정이나 책임만으로 해결되는 영역이 아니며,
시간과 자원을 투입하는 노동이라는 점에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부모 교육 제도의 공공화, 양육휴직 제도의 실효성 강화,
돌봄에 대한 재정적 보상 체계 마련 등은 단순한 지원을 넘어 구조적 전환을 요구하는 핵심 영역입니다.
부모라는 역할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들 너머에
누군가의 하루가 있다는 걸 떠올리게 됩니다.
✦ 본 콘텐츠는 [바다 건너편의 오늘] 시리즈입니다.
© 2025 물결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