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슬립헬스(Sleep Health)란? 수면과 건강을 연결하는 기술과 생활의 변화

 잠들지 못하는 밤이 많아질수록 어른이 될수록 잠이 줄어드는 건 당연한 일인 줄 알았습니다. 일이 많아서, 스트레스가 많아서, 아니면 그냥 나이가 들어서.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는 ‘잠을 못 잔다’가 아니라 ‘잘 자는 방법을 잊었다’는 말이 더 가까워졌습니다. 그래서 요즘, 다시 수면을 배워보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잠이 오지 않는 밤이 자주 찾아옵니다. 눈을 감아도 머릿속은 계속 깨어 있고, 피곤함이 쌓여도 깊은 잠은 좀처럼 찾아오지 않습니다. 우리는 늘 피곤하지만, 충분히 자고 있다는 느낌은 점점 멀어집니다. ⸻ 슬립헬스란? 슬립헬스(Sleep Health) :  수면을 단순한 휴식이 아닌, 건강의 핵심 요소로 인식하는 개념 입니다. 이 용어는 수면의 양보다 질, 그리고 수면과 전반적인 건강 간의 상호작용에 주목합니다. 슬립헬스는 수면 시간뿐 아니라 수면의 구조, 회복 정도, 정신적 안정성 등을 포함한 복합적인 수면 건강 상태 를 말하며, 최근에는 슬립테크 기술을 통해 이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관리하려는 시도들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 용어는 2014년 미국의 수면의학 전문가 다니엘 부이스(Daniel J. Buysse)가 「Sleep Health: Can We Define It? Does It Matter?」라는 논문에서 처음 제안했습니다. 그는 슬립헬스를 수면의 질, 지속 시간, 규칙성, 효율성, 주관적 만족도 등 다섯 가지 요소를 통합한 건강 지표로 정의하며, 수면을 단순한 결핍이 아닌 능동적인 건강 상태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는 관점을 강조했습니다. 이 개념이 주목받게 된 배경에는 현대인의 수면이 단순한 양적 부족을 넘어 삶의 질 자체를 무너뜨리고 있다는 사회적 인식이 있습니다. 교대근무, 스마트폰 사용, 만성 스트레스 등이 수면 위생을 악화시키고 있고, 수면 장애가 정신질환과 신체 질환의 초기 징후로 관찰되면서 수면은 건강 관리의 ‘결과’가 아닌 ‘시작점’으로 새롭게 인식되고 있습니다. 수면은 정신 건강과도 깊게 연결되어 있습...

6월 6일 현충일, 제정 배경과 순국선열을 기리는 법정 의미

충절을 기리는 하루, 6월 6일


거리엔 사이렌이 울리고, 사람들은 잠시 고개를 숙입니다.

잊지 않는다는 건, 그렇게 아주 작은 동작에서 시작됩니다.



현충일(顯忠日):
나타날 현, 충성 충

나라를 위해 충성을 다한 이들의 희생과 충절을 드러내고 기리는 날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현충일은 매년 6월 6일,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을 기리는 국가기념일입니다.

1956년 4월 19일, 제2대 국무회의에서 처음 지정되었고, 이듬해부터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법정공휴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행정 주관은 국가보훈처가 맡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전사자를 중심으로 기억하는 날이었으나, 현재는 군인뿐 아니라 경찰, 소방, 민간인 희생자까지 그 범위가 확장되어 있습니다.

기억의 의미는, 물리적 추모를 넘어 공공의 가치로서의 희생과 봉사를 함께 떠올리는 날로 자리 잡았습니다.



현충일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요


현충일은 한국전쟁 이후 국가적 차원의 추모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필요성에서 비롯되었습니다.

1955년, 전몰군경유족회와 보훈단체들이 정부에 공식적인 국가 추념일 제정을 요청했고,

이승만 대통령 정부는 이를 받아들여, 1956년 4월 제2대 국무회의를 통해 지정하게 됩니다.


날짜는 6월 6일로 정해졌습니다.

이는 6·25 전쟁과 관련된 희생이 집중된 시기이자, 음력 4월 보름(단오)에 맞닿아 있어 전통적인 제례의 의미도 고려되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하반기 공휴일 부족 문제도 함께 반영되었습니다.

날짜 기념일명 구분 지정 연도
6월 6일 현충일 국가기념일 / 법정공휴일 1956년



우리는 이 날을 어떻게 이어가고 있을까요?


현충일에는 매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중앙추념식이 열립니다. 

오전 10시 정각, 전국에 사이렌이 울리고 1분간 묵념이 진행되며, 정부 공식 행사에는 대통령을 비롯한 국무위원, 보훈 가족, 참전 유공자 등이 참석합니다.



이날은 태극기를 조기(弔旗) 게양하는 날이기도 합니다.

깃대의 길이를 기준으로, 깃면의 너비만큼 내려 단 태극기를 조기 형태로 게양해야 하며, 이는 가정에서도 참여할 수 있는 추모 방식입니다.


최근에는 온라인 추모관, SNS 인증 캠페인, 헌화 챌린지 등 디지털 기반 참여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국가보훈처는 매년 새로운 슬로건을 통해 기억의 공공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교육 현장과 미디어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이 날을 기리고 있습니다.





공적 추모, 국가의 선택


현충일은 단순한 기념일이 아닌, ‘기억을 국가가 책임지는 방식’ 중 하나입니다.

죽음을 기념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삶을 다시 사회의 가치로 불러오는 절차입니다.




희생의 소중함은 사라지지 않습니다.
다만, 우리가 다시 불러야 깨어납니다.

6월 6일 오늘은 
그 이름들을 조용히 불러보는 날입니다. 



✦ 본 콘텐츠는 [공휴일과 기념일] 시리즈입니다.  

© 2025 물결노트.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슬립헬스(Sleep Health)란? 수면과 건강을 연결하는 기술과 생활의 변화

 잠들지 못하는 밤이 많아질수록 어른이 될수록 잠이 줄어드는 건 당연한 일인 줄 알았습니다. 일이 많아서, 스트레스가 많아서, 아니면 그냥 나이가 들어서.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는 ‘잠을 못 잔다’가 아니라 ‘잘 자는 방법을 잊었다’는 말이 더 가까워졌습니다. 그래서 요즘, 다시 수면을 배워보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잠이 오지 않는 밤이 자주 찾아옵니다. 눈을 감아도 머릿속은 계속 깨어 있고, 피곤함이 쌓여도 깊은 잠은 좀처럼 찾아오지 않습니다. 우리는 늘 피곤하지만, 충분히 자고 있다는 느낌은 점점 멀어집니다. ⸻ 슬립헬스란? 슬립헬스(Sleep Health) :  수면을 단순한 휴식이 아닌, 건강의 핵심 요소로 인식하는 개념 입니다. 이 용어는 수면의 양보다 질, 그리고 수면과 전반적인 건강 간의 상호작용에 주목합니다. 슬립헬스는 수면 시간뿐 아니라 수면의 구조, 회복 정도, 정신적 안정성 등을 포함한 복합적인 수면 건강 상태 를 말하며, 최근에는 슬립테크 기술을 통해 이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관리하려는 시도들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 용어는 2014년 미국의 수면의학 전문가 다니엘 부이스(Daniel J. Buysse)가 「Sleep Health: Can We Define It? Does It Matter?」라는 논문에서 처음 제안했습니다. 그는 슬립헬스를 수면의 질, 지속 시간, 규칙성, 효율성, 주관적 만족도 등 다섯 가지 요소를 통합한 건강 지표로 정의하며, 수면을 단순한 결핍이 아닌 능동적인 건강 상태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는 관점을 강조했습니다. 이 개념이 주목받게 된 배경에는 현대인의 수면이 단순한 양적 부족을 넘어 삶의 질 자체를 무너뜨리고 있다는 사회적 인식이 있습니다. 교대근무, 스마트폰 사용, 만성 스트레스 등이 수면 위생을 악화시키고 있고, 수면 장애가 정신질환과 신체 질환의 초기 징후로 관찰되면서 수면은 건강 관리의 ‘결과’가 아닌 ‘시작점’으로 새롭게 인식되고 있습니다. 수면은 정신 건강과도 깊게 연결되어 있습...

디지털 노마드 Digital Nomad — 장소에 얽매이지 않는 일과 삶의 선택

시간과 공간의 자유를 찾아가는 그들 도시를 떠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주말이나 휴가가 아니라, 일주일이나 한 달 단위로. 일을 놓지 않은 채, 방식을 조금 바꾸는 선택입니다. 정해진 사무실 대신, 인터넷이 연결되는 곳이라면 어디든 그들의 하루는 계속됩니다. 일과 삶의 경계를 재조정하는 방식으로서의 이동입니다. 사람들은 반복되는 루틴과 혼잡한 환경에서 벗어나기 위해 떠납니다. 단절이 아니라, 연결의 방식을 바꾸려는 움직임입니다. 인터넷은 모든 걸 가능하게 만들었지만, 때때로 그 연결이 사람을 한자리에 붙들어놓는다는 감각도 함께 남았습니다. 그래서 일과 거주를 분리하려는 선택이 점점 자연스러워지고 있습니다. 디지털 노마드(Digital Nomad) 란  장소에 얽매이지 않고 일하는 사람들 을 일컫는 말입니다. 이 개념은 1997년, 일본 기술자 츠기오 마키모토가 처음 제시했습니다. 기술이 인간을 고정된 공간에서 해방시킬 수 있다는 믿음에서 시작됐습니다. 팬데믹 이후 이 생각은 구체적인 삶의 형태로 자리 잡았습니다. 원격 근무는 일상이 되었고, 이동과 노동은 더 이상 반대 개념이 아닙니다. 어디에서든, 스스로 정한 방식으로 일하는 사람들이 생겨났습니다. 이런 삶을 위한 기반도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포르투갈 마데이라는 디지털 노마드를 위한 거주지이자 커뮤니티인 디지털 노마드 마데이라 를 운영합니다. 숙소와 코워킹 스페이스, 커뮤니티 프로그램이 결합된 체류 공간이 마련돼 있습니다. 인도네시아 발리의 우붓은 한 달 기준 700~1,000달러로 생활이 가능하고, 비자 연장도 비교적 간단합니다. 매주 열리는 소규모 커뮤니티 모임과 일정 시간 운영되는 코워킹 공간이 정착을 유도합니다. 우붓은 조용한 자연환경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특히 적합합니다. 대부분의 커뮤니티는 민간 코워킹 스페이스 운영자가 주도하며, 비자는 입국 후 30일 관광비자 발급 → 현지 연장 방식으로 최대 60일까지 가능합니다. 많은...

5월 21일 국제 차의 날, 우리가 차를 기념하는 이유

작은  잎사귀의 시간, 국제 차의 날 바쁜 날들 속에서, 어디선가 은은히 퍼지는 향 하나가 우리를 잠깐 멈추게 하곤 합니다. 5월 21일은 ‘국제 차의 날’입니다. 이날은 단순히 차를 마시는 문화가 아니라, 그 안에 담긴 역사와 노동, 환경, 공동체를 돌아보는 날입니다.  국제 차의 날은 언제부터 시작됐을까? 국제 차의 날(International Tea Day) 은 2019년 유엔(UN) 총회에서 공식 채택된 국제 기념일입니다. 첫 번째 기념은 2020년부터 시작되었고, 매년 5월 21일, 전 세계에서 기념하고 있습니다. 사실 이보다 앞서,  2005년 인도와 스리랑카 등 차 생산국들이 12월 15일을 ‘비공식 국제 차의 날’로 삼아 차 산업의 노동권과 공정무역을 알리는 캠페인을 벌이기도 했습니다. 이후 UN이 주도하여 날짜를 5월 21일로 새로 지정하면서 공식 국제기념일로 자리 잡은 날이 바로 지금의 ‘국제 차의 날’입니다.  이 날이 왜 중요한 걸까?  차는 단순한 음료가 아닙니다.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전 세계 어디서든 차는 문화, 대화, 환대, 명상, 노동, 그리고 연대를 상징합니다. 국제 차의 날은 단순히 차를 ‘마시는 행위’를 기념하는 게 아니라, • 기후 변화로 위협받는 차 재배지 • 불안정한 노동 조건 • 공정한 무역 구조의 필요성 같은 문제를 조용히 그러나 분명하게 드러내는 날입니다. 그리고 그 안엔 일상 속에서 우리가  ‘티타임을 가지며 쉬는 것’을 선택하는 태도도 담겨 있습니다.  2025년 국제 차의 날의 공식 주제는 “Tea for Better Lives” , 차를 통한 더 나은 삶 입니다. 차 산업이 전 세계 수백만 명의 생계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기반으로, 올해는 특히 소규모 농부, 여성 노동자, 공정 무역, 환경 보호를 중심으로 지속 가능한 차 산업의 방향성을 강조합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5월 20일과 21일, 세계 벌의 날과 국제 차의 날을 공동으로 ...
☕ 커피 한 잔 응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