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여름, 쉬는 날은 언제일까? 계절이 바뀔 때마다, 우리는 다시 달력을 펼쳐보게 됩니다. 매달 다른 공휴일 패턴을 계절별로 비교해 보는 것은, 일상을 계획하는 데 의외로 도움이 됩니다. 여름은 달력에 공백이 많은 계절입니다. 뜨거운 날씨 속에서도 일상은 계속되기에, 어느 하루가 ‘쉼’으로 다가올 수 있다면 그 자체로 위로가 되곤 하죠. 2025년 여름엔 총 3일의 공휴일이 있습니다. 하나는 선거일, 두 날은 국경일입니다. 날짜 공휴일명 구분 요일 6월 3일 대통령 선거일 임시공휴일 화요일 6월 6일 현충일 법정공휴일 금요일 7월 공휴일 없음 - - 8월 15일 광복절 법정공휴일 금요일 6월 공휴일 • 6월 3일 (화요일): 제22대 대통령 선거일 → 법정공휴일은 아니지만, 공직선거법에 따라 전국이 휴일로 운영됩니다. 관공서, 학교는 휴무이며, 대부분의 직장도 이날은 쉴 가능성이 큽니다. • 6월 6일 (금요일): 현충일 → 유일한 법정공휴일이자 국경일입니다. 주중 짧은 연차 조합으로 소규모 여행도 가능하겠죠. 6월 4,5일에 연차를 쓰실 수 있다면 여름의 문턱에서 작은 연휴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7월 공휴일 2025년 7월에는 공휴일이 없습니다. 쉬는 날 없이 한 달을 보내야 하는 유일한 달. 그래서 더욱 계획적인 휴식이 필요할 수 있어요. 미리 연차를 계획해 두거나, 징검다리 연휴가 생기는 달을 참고해 대체 휴식을 확보해 두는 것도 방법입니다. 왜 7월이 여름휴가철인지 이유를 확실히 알 것 같네요. 잠시라도 훌쩍 떠나고 싶은 곳을 한번 떠올려 보세요~ 생각만으로도...
연등 아래에서 만나는 부처님 오신 날 꽃들이 가득 피는 5월, 조용히 마음을 돌아보게 하는 날이 찾아옵니다. 부처님 오신 날. 불교에서는 ‘석가모니의 탄생’을 기념하는 이 날을 ‘부처님 오신 날’ 또는 ‘초파일’이라고 부릅니다. 오늘은 이 날에 담긴 의미와 유래를 함께 정리해 봅니다. 부처님 오신 날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요? 부처님 오신 날 은 석가모니가 태어난 음력 4월 8일 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한국에서 이 날을 공식적으로 기념하기 시작한 것은 통일신라 시대부터입니다. • 통일신라 시기, 국가 주관으로 ‘초파일 행사’를 개최 • 고려 시대에는 더욱 성대하게 이어짐 • 조선 시대에는 억불 정책으로 위축되기도 했지만, 민간 중심으로 조용히 이어져 왔습니다. 광복 이후, 불교계는 부처님 오신 날을 부활시켰고, 1956년부터 공식적인 행사로 자리 잡기 시작했습니다. 부처님 오신 날은 공휴일인가요? 부처님 오신 날은 법정 공휴일 입니다. 구분 설명 공휴일 여부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명시 지정 근거 1975년, 부처님 오신 날을 법정 공휴일로 공식 지정 의미 석가모니의 탄생을 기념하고, 자비와 평등의 가르침을 되새기는 날 학교, 관공서, 금융기관 등은 모두 휴무하며, 전국 사찰에서는 연등행사와 법요식이 열립니다. 연등(燈) 은 부처님 오신 날을 상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밝은 등을 밝히며 모든 생명이 존귀하다는 가르침을 다시 생각해 봅니다. 연등 하나하나에는 자신과 가족, 세상의 안녕을 기원하는 마음이 담깁니다. 5월, 화려한 꽃 아래 작은 등불을 밝히는 마음을 기억합니다. 그 빛이 길을 잃지 않고, 우리 안에서도 조용히 타오르기를. ✦ 본 콘텐츠는 [공휴일과 기념일] 시리즈입니다. © 2025 물결노트.